스마트 해운물류
|
항만 스마트화
|
지속가능한 완전 자율화 항만
|
-
완전 자율주행기반 항만물류장비 기술
-
최적 항만운영 의사결정시스템 기술
-
스마트 통합 원격관제센터 운영 기술
-
지속가능・유연한 미래 항만 설계・건설 기술
|
-
자율운항선박 규제혁신로드맵
-
스마트안전항만 인증
-
공공 물류데이터 수집 제도
-
비식별화 가명정보 및 결합정보 활용체계
-
스마트 해운물류 스타트업 육성체계
-
스마트해상물류 + ICT 전문자격제도
-
지능형 해상교통시스템 국제표준 및 국제법 대응
-
IMO 자율운항선박 자율화 등급 구분
-
자율운항선박 산업촉진법{
-
자율운항선박 특례법
-
예비 오션스타 기업 선정 및 지원
-
자율운항선박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
-
자율운항선박 성능실증센터
-
LTE M
-
저궤도 위성통신망
-
디지털 해양안전정보 제공 체계(e Navigation)
-
자율운항선박용 레이더
-
자율운항선박용 시운전센터
-
실무 프로젝트를 통한 전문가 양성 교육프로그램
-
해기 교육 체계 및 자격 평가
-
스마트항만 전동 장비 운용능력 교육
-
항만재직자의 직무전환 지원
-
해상디지털 민간 자유공모 지원
-
스마트 선박 전문인력양성
-
시뮬레이터 기반 항만운영 인력양성 교육
|
스마트 컨테이너
|
-
일체형 스마트 컨테이너 보급 기술
-
스마트 컨테이너 실용화 기술
-
내장센서를 통한 실시간 확인 기술
-
온도/습도 원격제어 기술
|
스마트 항만 IoT 기술
|
-
스마트 항만 IoT 구축 기술
-
스마트 항만 IoT 융합 운영기술
|
데이터 댐 기술
|
-
데이터 댐 기술
-
데이터 댐 구축 기술
|
화물 하역 및 이송기술
|
-
타이어형 항만크레인 적용 자동화 및 안전모듈 기술
-
컨테이너 정밀 스프레딩 시스템 기술
-
장애물 식별 시스템 기술
|
항만 지능화
|
-
항만내 데이터 실시간 수집 기술
-
컨테이너 최적배치 시뮬레이션 기술
-
인공지능 기반 분석 기술
-
항만운영 최적화 기술
|
스마트 자동화항만(OSS) 상용기술
|
-
레일기반 자동이송장비(FC) 개발 기술
-
오버헤드 자동하역장비 (OS) 개발 기술
-
대량・일괄 양하역 지원 구조물 설치 기술
-
OSS 최적운영 및 성능평가 시스템 기술
|
항만 자동화
|
-
항만내 화물처리 전영역의 자동화 기술
-
항만자동화 테스트베드 구축 운영기술
-
화물 무인운송 자율주행 트랩 기술
-
자율주행차량 자동하역시스템 기술
-
자율주행차량 운반선 자동탑재 기술
-
벌크터미널용 항만운영시스템 기술
-
벌크터미널 장비의 자동화・자율화 기술
-
최적 항만운영을 위한 터미널 설계 기술
|
항만 보안 및 유지관리
|
위험화물 자동탐지 시스템 기술
|
-
이온이동도분광 기술
-
영상 검색
-
위험화물 자동검색 및 복합탐지 시스템 기술
-
컨테이너 자동검색 영상획득모듈 기술
-
컨테이너 내부 방사선 복합탐지 시스템 기술
-
컨테이너 지능형 마약〮폭발물 탐지기술
|
항만시설물 관리 및 유지보수 기술
|
-
항만시설물 검사/모니터링/진단 로봇 및 원격기술
-
항만시설물 센서기술
-
스마트 유지관리 데이터 베이스 지능형 분석기술
-
스마트유지관리 시스템통합 플랫폼기술
-
항만시설물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
-
디지털트윈기반 항만시설물 예지보전 기술
-
GIS기반 위치·속
-
항만시설물 재해 및 노후화 예측 기술
|
항만 수역시설 안전 관리 기술
|
-
항만시설물 관리 및 유지보수 기술
-
수역시설 지리정보 구축 기술
-
수역시설 수심측정 및 환경 센서 개발
-
수역시설 디지털트윈 기술
-
인공지능기반 최적 준설 계획 수립 기술
|
컨테이너 관리 기술
|
-
컨테이너 검색정보 공유제공 플랫폼 기술
-
컨테이너 적재상태 모니터링 기술
|
해운 항만물류 연계
|
콜드체인 연계기술
|
-
해상 항만 콜드체인 정보 연계 기술
-
내륙 항만 콜드체인 정보 연계 기술
-
냉동냉장컨테이너 콜드체인 데이터 관리 기술
-
콜드체인 데이터 공유 및 리포팅 기술
-
글로벌 콜드체인 모니터링 기술
|
항만 물류 연계 기술
|
-
PCS(Port Community System)기술
-
터미널간 화물이송 및 컨테이너 셔틀레일 기술
-
해운 항만 내륙물류 통합 관제 시스템 기술
-
항만물류자원 공유 플랫폼 기술
-
항만 트럭 간 정보 연계 기술
-
항만 선박간 물류정보 연계 기술
-
도선지원 및 자동 계류 시스템 기술
-
선원 및 화물관리 시스템 기술
-
지능형 관제 시스템 기술
-
항만물류체인 디지털 인프라 기반 기술
-
빅데이터/인공지능 기반 물류연계 최적화 기술
-
해상 항만 육상물류정보 연계 및 최적화 기술
-
인천항‧부산항 스마트공동물류센터 조성 기술
|
자율운항선박 연계 기술
|
-
자동계류장치 기술
-
안전 입출항 지원 및 관제 기술
-
자율운항선박 검사 및 관리 기술
-
자동 화물 양적하 기술
|
컨테이너 검색정보 공유제공 플랫폼 기술
|
-
검색정보 운영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
-
검색정보 전송 및 클러스터 운용기술
-
검색정보서비스를 위한 설계/표준화 기술
|
자율운항선박
|
운용 기술 및 표준화
|
-
안전 운용 기술
-
자율운항선박 관리 기술
-
자율운항선박 국제표준화
|
기관 자동화 및 유지보수 기술
|
-
기관 상태 모니터링 기술
-
기관 고장 진단 및 예측 기술
-
에너지 통합관리 및 제어시스템 기술
-
선내 데이터 수집 플랫폼 기술
-
데이터 분석 및 최적화 기술
-
선내 장비 예지 보전 기술
|
센싱 및 상황인식 기술
|
-
영상 기반 물표 인식/식별 기술
-
레이더 기반 물표 식별 기술
-
항해장비 정보 추출 기술
-
센서 및 항해 정보 융합 기술
-
선박 거동 보정 기술
-
환경 영향 보정 기술
|
안전관리 기술
|
-
사이버 안전기술
-
자율운항시스템 검사 기술
-
해양환경 모니터링 및 예측 기술
-
선체상태 감지 모니터링 기술
-
사고대응 기술
|
성능실증 기술
|
-
성능실증 인프라 기술
-
시뮬레이션 기반 성능실증 기술
-
HILS 성능실증 기술
-
실해역 시험 기반 성능실증 기술
-
증강현실 기반 성능실증 기술
|
지능항해 시스템 기술
|
-
반자율 및 자율 운항 제어 기술
-
항해정보 처리 기술
-
복합 운항상황 가항영역 설정 기술
-
안전항로 설정 기술
-
경제항로 설정 기술
-
항로결정 및 최적화 기술
-
자동 이접안 기술
-
협업 운항 제어 기술
|
원격관제/제어 기술
|
-
디지털 육상관제기술
-
원격감시 및 제어기술
-
통합제어시스템 기술
|
스마트 수산
|
스마트 어업
|
어업자원 조사 및 관리기술
|
-
혼획방지기술
-
소형어 어획저감기술
-
TAC중심 자원관리기술
-
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개발기술
-
어구추적기술
|
-
혁신산업분야 유망기업의 창업 성장 촉진
-
양식면허제도 및 마을어업 면허제도 개선
-
창업기업 지원 및 산학연 협업을 통한 해양산업 생태계 강화
-
해양산업 사업화 연계 기술개발
-
해양수산 내수시장 활성화
-
해외시장 지출 및 확대 지원
-
혁신산업분야 유망기업의 창업 성장 촉진
-
수산생명자원센터
-
수산연구인력 연구지원
-
지역기반 해양수산 과학기술개발 전문인력 양성
-
청년 어선임대 시범사업
|
원천관리기술
|
-
어업안전관리기술
-
데이터 플랫폼기술
-
어구용 미세플라스틱 free 재료개발기술
-
어업기자재 표준화 기술
|
어업 생산 시스템
|
-
생태교란 유해물질 제거를 위한 수처리 장치 기술
-
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
-
안전어선 설계기술
-
복지강화어선 설계기술
-
어업자동화기술
-
어업용기자재 개발기술
-
어업안전관리기자재 개발 기술
|
기후변화 대응 및 온실가스 저감 기술
|
-
탄소발생 저감어업 개발기술
-
탄소 저감어선 개발기술
-
온난화 대응 어업관리기술
|
스마트 양식
|
원천관리기술
|
-
스마트양식 통합관리 플랫폼 기술
-
입식량 관리 기술
-
주요 전략품목별 첨단 양식기술
-
스마트양식 기자재 개발 기술
-
GIS기반 어장정보화 시스템 기술
-
양식기술 표준화 기술
-
양식 시설 및 기자재 표준화 기술
|
수산종자 개발 기술
|
-
우수종자 개발 기술
-
수산종자 디지털 육종 플랫폼 기술
-
내병성종자 검인증 기술
-
무병종자 생산, 관리, 검증기술
|
양식기술 첨단화 기술
|
-
유수식 스마트양식 시스템 기술
-
빅데이터 기반 양식 생산성 향상기술
-
유수식 디지털양식 혁신 기술
-
양식어업 안전 및 자동화 기술
-
외해 플랜트형 스마트 양식기술
-
표준화된 자동화 기자재 기술
-
양식장 데이터 축척 공유 및 응용 프로그램 기술
-
빅데이터 기반 AI 통합 자동제어 기술
|
수산생물질병 대응 기술
|
-
수산생물 질병 치료·제어 고도화 기술
-
수산생물 신종질병 대응기술
-
수산생물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
-
수산생물질병 예측기술
-
수산생물병원체자원 기초소재관리기술
|
수산실용화기술
|
-
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기술
-
양식 산업화 기술
-
양식 생산성 향상 기술
-
해양심층수 활용 다단계 복합양식 기술
|
스마트 유통
|
수산물 신선유통 스마트 기술
|
-
위판장 3.0 시설 시스템 기술
-
위판장 3.0 장비 기술
-
신선유통 표준화 기술
|
수산물 유통 시스템
|
-
수산물 유통 현안해결 기술
-
스마트 유통 위생 시스템 기술
-
현장적용 스마트 저온유통 기술
-
IoT 기술 기반의 스마트 위판장 시스템 기술
|
스마트 가공
|
수산식품 위생 관리 기술
|
-
수산물 가공 분야 현장 맞춤형 기술
-
수산물 포장 분야 현장 맞춤형 기술
-
수산식품 품질향상 분야 현장 맞춤형 기술
|
수산식품 신제품 개발 기술
|
-
현장형 진단시스템 기술
-
전통수산가공식품 개발 및 상품화 기술
-
기능성식품 소재 및 관련 응용제품 개발 기술
|
수산식품 가공시스템 기술
|
-
수산식품 생산 핵심 공정 자동화 시스템 기술
-
지능정보 기반 스마트 검사 시스템 기술
-
자율인지형 스마트 공정제어 시스템 기술
-
스마트 가공 공장 도입 및 확산 기술
|
스마트 품질관리
|
스마트 수산물 품질관리 기술
|
-
스마트 수산물 품질관리 기반구축 기술
-
수산물 검역기술 고도화 기술
-
수산생물방역관리기술
-
수산용의약품 안전관리기술
|
품질관리 고도화 기술
|
-
원산지 추적 및 판별기술 고도화 기술
-
수산물 이력관리시스템 기술
-
수입산 수산물 검역 관리 기술
|
탄소 중립
|
탄소 저감
|
해양 온실가스 관리 기술
|
-
습지 탄소저장
-
해양 온실가스 저감 기술
-
대기환경 관리 강화 기술
-
온실가스 관리를 위한 최첨단 스마트 기술
-
항만 대기오염물질 분석·예측 플랫폼 구축 기술
-
해양 연안 항만 대기환경 조사체계 구축 기술
|
-
탄소흡수형 해안조성 설계 및 시공, 운영 기술 가이드라인
-
자연해안관리지침 고시 및 관련 법률·지침 개정
-
블루카본 대국민 및 지자체 대상 홍보
-
블루카본 및 신규 탄소흡수원 국제인증 주도
-
친환경선박 국제대응 및 국내외 표준화, 제도개선
-
CCUS 법률안 제정
-
친환경선박 인증제
-
관공선의 친환경선박 대체 건조 및 개조
-
해양의 신규 탄소 흡수원 발굴
-
항만 인프라의 탄소저감 추진방안
-
탄소중립 오션뉴딜 시범사업
-
전기복합 추진 어선 성능인증체계
-
수소선박 안전기준 국제표준화
-
친환경선박 시험기준
-
국제협력 통합 플랫폼 구축 제도
-
이동식 전원공급시스템 안전기준 국제표준화
-
친환경선박 검사기준
-
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도 및 기후대응기금
-
블루카본 국제포럼
-
블루카본 식생 씨드 뱅크(seeds bank)
-
친해양소재 생산 설비
-
탄소흡수형 해안 최적조건 검증 테스트베드
-
이동식 전원공급시스템 기반 순전기추진 차도선 실증
-
연안선박용 암모니아 연료전지 추진시스템
-
대형 내연기관용 암모니아 연료공급시스템
-
친환경 선박 상용화 기술 시험・평가기반 고도화 시스템
-
그린쉽 K 시범선박 건조 설비
-
무탄소 선박적용 테스트베드
-
선상 미세먼지 저감 장치 보급
-
선상 CO2 저감 장치 보급
-
고성능 슈퍼컴퓨터 인프라 구축
-
해양탄소플럭스 고정관측망 구축
-
해양탄소플럭스 정기 선박관측시스템 구축
-
친환경기술 선박 적용 테스트베드
-
연안선박용 혼합연료 추진선 상용화 시스템
-
핵심 기자재 시험/인증 인프라
-
친환경연료 시험・평가설비
-
연안용 전기ㆍ하이브리드선 상용화 시스템
-
블루카본 연구 전문인력 양성
-
탄소흡수형 해안조성 전문인력 양성
-
지능형 예측 솔루션 개발 전문인력양성
-
친환경선박 운영·관리 전문인력 양성 및 업무역량 향상
-
해양지질 탐사 및 분석기술 전문인력 양성
-
해양생지화학, 물질순환, 생태계전문 인력양성
-
해양탄소순환 모델링 전문인력 양성
-
지구시스템 모델링 전문인력 양성
-
해양탄소 플럭스 관측 전문인력 양성
-
친환경선박 전문인력 양성
|
CCUS 통합실증 및 상용화 기반 구축 기술
|
-
대규모 저장소 확보 기술
-
동해가스전을 활용한 중규모 CCS 통합실증 기술
-
이산화탄소 포집 및 운송 기술
-
이산화탄소 저장 후보지 선정 및 저장소 건설 기술
-
해양환경 영양 평가 기술
-
CO2 해양 지중저장 후보지 선정 기술
-
CO2 지중 저장에 따른 해양 환경 영향 조사
-
중규모 CCS 통합실증 기술
-
CCUS
|
탄소 흡수
|
신규탄소흡수원 발굴 및 블루카본 증진·산정 기술
|
-
신규 해양 탄소흡수원 발굴 기술
-
신규 탄소흡수원 탄소 흡수 프로세스 규명기술
-
블루카본 식생 산정 기술
|
해양탄소순환 연구
|
-
탄소순환 진단기술
-
탄소순환 예측기술
-
탄소순환 평가기술
|
탄소흡수형 연안 및 기후 리스크 대응 해안조성기술
|
-
탄소흡수형 연안 및 해안 염습지 조성 기술
-
친해양소재 활용 해안선 기후리스크 대응 기술
-
친자연형 구조물 활용 인공구조물 연성화 기술
|
친환경 선박
|
무탄소 선박
|
-
무탄소 연료 저장 탱크 및 공급 장치 기술
-
무탄소 연료용 기자재 기술
-
무탄소 연료 내연기관 기술
-
선박용 연료전지 기술
-
이차전지 전기추진 시스템 기술
-
원자력 추진 시스템 기술
|
저탄소 선박
|
-
저탄소 연료 저장 탱크 및 공급 장치 기술
-
저탄소 연료용 기자재 기술
-
저탄소 연료 내연기관 기술
|
선박 공통기술
|
-
보조동력원(신재생에너지) 기술
-
경량화 및 에너지 저감 기술
-
경제 운항 시스템 기술
-
CO2 포집 저장 기술
-
벙커링 및 육상전원공급장치 기술
|
하이브리드 선박
|
-
내연기관 이차전지/연료전지 시스템 기술
-
내연기관 발전기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
-
발전기 이차전지/연료전지 추진 시스템 기술
-
혼소 엔진 기술
|
수소 항만
|
수소에너지 프로슈버 생태계 구축 기술
|
-
수소 생산, 수입 인프라 및 순환형 공급 배관망 기술
-
수소복합 스테이션 구축 기술
-
수소 야드트랙터 도입 기술
-
수소 수출입 보관기술
-
수소 하역 및 이송장비 기술
|
수소연료 및 전력공급 기술
|
-
안전기반 소형수소추진선박 기술
-
수소연료전지기반 육상전원공급장치 기술
|
해양 자원
|
해양 바이오
|
해양수산 공정기술
|
-
해양바이오 전략소재 대량생산 기술
-
대량생산 고도화 공정개발 기술
-
유용소재 추출·분리 산업원료화 소재 기술
|
-
해양바이오 산업소재 규격화 및 대량생산 공정표준
-
체계적인 홍보 지원
-
연구·산업현장 정보공유 플랫폼
-
유효성 평가·실증센터
-
해양과학기술 산학연 협력센터
-
해양치유마을 조성
-
해양치유자원복합실증센터 조성
-
해양치유 전문가 양성 교육체계/교육기관 설립
-
해양치유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
-
해양치유 교육 콘텐츠 개발사업
-
복합해양치유 제품·프로그램 개발 및 체험
-
해양치유자원 활용 창업 지원사업
-
국제 해양치유 전문가 공동연구 및 네트워킹
|
해양수산바이오 데이터센터 구축 운영 기술
|
-
해양수산바이오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기술
-
해양생물자원 소재정보 시스템 구축기술
|
해양수산생명자원 소재활용 기술
|
-
해양동물자원 기초소재 기술
-
해양식물자원 기초소재 기술
-
공해상자원 기초소재 기술
-
해양미소생물자원 기초소재 기술
-
해양수산부산물 바이오소재화 기술
-
수산미소생물자원 기초소재기술
|
해양바이오 신소재 기술
|
-
고효율 바이오수소 정제 시스템 기술
-
바이오수소 생산 기술
-
바이오수소 플랜트 공정 품질 인증 기술
-
바이오수소 플랜트 운영 최적화 시스템 기술
-
해양단백질 기술
-
영상진단 기술
-
고령친화형 글로벌기능성 소재 기술
-
바이오 메디컬소재 기술
-
근적외선 조영물질 및 영상진단기기 기술
-
석유화학 소재 대체 친환경소재 기술
-
세포 내 효소 활용 탄소저감 산업소재 생산기술
|
해양생명자원 확보기술
|
-
해외 해양생물자원개발 및 활용기반 기술
-
해양수산생물 유전체 정보 분석 기술
-
해양생물자원 유전체 정보 분석 기술
-
극지 균류 저온성 효소 유용물질 기술
-
극지 지의류 유래 치매치료제 실용화 기술
|
해양 에너지
|
개방형 해수온도차 발전 기술
|
-
공정(사이클) 설계 및 최적화 기술
-
취수 시스템 해석 및 설계 기술
-
핵심 요소기기 개발 기술
-
플랫폼 및 계류 기술
|
부유식 파력발전 기술
|
-
부유식 파력발전 1차에너지변환 기술
-
부유식 파력발전 2차에너지변환 기술
-
부유식 파력발전 발전기 및 PCS 기술
-
부유식 구조물 및 계류계 기술
-
다이나믹케이블 기술
-
부유식 파력발전 실증 기술
|
방파제 연계형 파력발전 기술
|
-
진동수주형 파력발전 구조물 기술
-
파력발전용 터빈 기술
-
파력발전용 발전기 및 PCS 기술
-
파력발전 ESS 연계 기술
-
파력발전 디지털트윈 및 최적제어 기술
-
방파제 연계형 파력발전 실증 기술
-
다수모듈 운용 및 유지보수 기술
|
폐쇄형 해수온도차 발전 기술
|
-
공정(사이클) 설계 및 최적화 기술
-
취수 시스템 해석 및 설계 기술
-
핵심 요소기기 개발 기술
-
플랫폼 및 계류 기술
-
플랜트 감시제어 및 전력 제어 기술
|
해양그린수소 생산기술
|
-
해양그린수소 수전해 및 BOP 기술
-
해수냉각 및 부방식 기술
-
해양그린수소 안전기술
-
해양그린수소 디지털트윈 및 최적제어 기술
-
파력발전 디지털트윈 및 최적제어 기술
-
발전기 일체형 해양그린수소 시스템 기술
-
대용량 집중형 해양그린수소 시스템 기술
|
조류발전 융복합시스템 개발
|
-
도서지역 적용형 조류발전 ESS 융복합 시스템 기술
-
조류발전 연계 그린수소 생산기술
-
조류발전 양식 융복합 기술
|
수직축 조류발전시스템 기술
|
-
블레이드 소재, 형상, 구조 설계 기술
-
MPPT 제어 및 Regulation 기술
-
LCOE 절감형 지지구조물 설계 기술
-
PMSG 발전기 및 PCS
-
대형 주축 베어링 및 증속기 설계 기술
|
해수온도차발전 상용화 기술
|
-
단지 설계(자원, 배치, 전력망 등) 기술
-
시스템 운송 및 설치 기술
-
운영 및 유지보수 기술
-
해수온도차에너지 섹터커플링 기술
-
해수온도차발전 표준인증체계 개발 기술
|
조류발전단지운영 기술
|
-
조류발전 자원량 평가 및 예측 기술
-
조류발전 단지 내 터빈 최적 배치 기술
-
조류발전시스템 및 해저케이블 운송 및 설치 기술
-
조류발전단지 최적 원격 및 유지관리 기술
-
조류발전단지 건전성 진단 및 수명 예측 기술
-
해양환경영향평가 기술
|
수평축 조류발전시스템 기술
|
-
블레이드 소재, 형상, 구조 설계 기술
-
MPPT 제어 및 Regulation 기술
-
LCOE 절감형 지지구조물 설계 기술
-
허브 프레임 경량화 설계 기술
-
조류발전 부유식 플랫폼 설계 기술
-
대형 주축 베어링 및 증속기, 나셀 설계 기술
-
대형 조류발전용 Yaw 시스템 설계 기술
-
1~2MW급 고전압 고신뢰성 PMSG 개발
-
1~2MW급 고전압 고신뢰성 전력변환장치 개발 기술
|
해양 치유
|
원격해양치유 서비스 기술
|
-
원격해양치유 5G 서비스 플랫폼 개발 기술
-
실감형 원격 해양치유 AR/VR콘텐츠 기술
|
스마트 해양치유 기술
|
-
ICT기반 해양치유 콘텐츠 개발 기술
-
해양치유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기술
-
스마트 해양치유 서비스 기술
|
해양치유자원 안전성 관리기술
|
-
치유자원의 인체/환경 안전성 검증 기술
-
중금속/ 방사능 등 유해물질 저감기술
-
생애주기 안전성 관리체계 구축 기술
|
해양치유자원 효능 검증 기술
|
-
해양치유자원 표준화 분석 기술
-
해양치유자원 효능 검증 기술
-
해양치유자원 탐색 기술
|
농림해양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
|
-
해양치유자원의 관리 및 활용기술
-
해양치유센터 운영시스템 기술
-
해양치유 시설‧장비‧서비스의 품질관리 기술
-
ICT·IOT·VR 기술 활용 해양치유 상용화 기술
|
해양치유자원 활용 고도화 기술
|
-
해양치유산업 분류체계 구축
-
해양치유시설/장비/제품 상용화 기술
-
해양치유 활용을 위한 지표/지수 기반 표준화 기술
|
해양 교통안전
|
해양 교통
|
해양 PNT
|
-
지상기반 센티미터급 해양정밀 PNT 기술
-
지상파 통합 항법시스템(R Mode)기술
|
-
해상 교통로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
-
국가 해상 교통망 관리 법률·지침
-
해양교통 빅데이터 전문 인력 양성
-
해양교통 연구 인력 양성
|
디지털 해양교통체계
|
-
차세대 전자해도 장비(ECDIS) 기술
-
차세대 통신장비(VDES) 기술
-
해양교통 안전 플랫폼 기술
-
디지털 해상교통망 기술
-
해양교통 관제 및 모니터링 기술
-
GIS기반 디지털 교통 시스템 기술
-
선박 및 항행장비 디지털혁신 기술
-
항로, 항로표지시스템 기술
-
항행보조시설 등 첨단화(디지털화) 기술
-
스마트 항로표지 현장 시설 고도화 기술
-
해양 디지털 항로표지 정보협력시스템 기술
|
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(KPS) 기술
|
-
위성항법시스템 체계 통합 기술
-
위성항법시스템 위성시스템 기술
-
위성항법시스템 지상시스템 기술
-
위성항법시스템 사용자시스템 기술
|
해상통신망 기술
|
-
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 구축 기술
-
선박용 송수신기의 초기 보급 지원 기술
-
해상디지털 통신연계 기술
-
해양디지털 정보활용 기술
-
시뮬레이션 평가기술
-
실해역 성능검증 기반기술
|
해양교통정보 서비스
|
-
해양교통서비스 안심 이용 사이버보안체계 기술
-
전자해도, AIS 등 통합된 디지털 항해장비 기술
-
선박간 교통정보제공(V2V) 기술
-
데이터 플랫폼 기술
-
정보 연계 기술
-
교통 빅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 기술
-
실시간 교통정보 처리 기술
-
선사/선박/선원/ 안전지수 개발 기술
|
해양 안전
|
안전관리 시스템 기술
|
-
해양구조물 안전성능평가 시스템 기술
-
센서기반 선박상태 감지 모니터링 기술
-
사고대응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기술
-
선체 마모 영상인식 기술
-
운항 최적화 기술
-
승선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
-
선내 기관/복원성 등 선박 성능 모니터링 기술
-
선박경고시스템 기술
|
해양구조물 안전성능 평가 시스템 기술
|
-
해양구조물 안전성능평가 시스템 기술
|
해양교통안전 서비스
|
-
해양사고 예방기술
-
해상무선통신 연계 기술
-
인공지능 분석기술
-
해역 내 사고위험 예측 기술
-
선박 사고감지 및 비상상황 모니터링 기술
-
빅데이터 분석기반 사고위험 예측 기술
-
항로 및 선박 안전성 평가 기술
-
사고유형별 빅데이터 기반 원인 식별 분석 기술
-
해역 위험 정보 분석 기술
|
항만 위험 탐지 및 감지 기술
|
-
항만 보안용 라이다 및 지능형 CCTV 핵심 기술
-
항만형 스마트 재난 및 통합대응 기술
-
중소형 선박 입출항 자동탐지 및 분석기술
-
항만내 작업자 이상행동 감지 기술
-
자율주행 드로이드 기술
-
인공지능 분석 기술
-
사고위험감지 기술
-
침입사고감지 기술
|
안전운항 정보 기술
|
-
안전 운항 정보 서비스 제공 기술
-
해상상태예측 기술
|
해양 로봇장비
|
해양 로봇
|
해양로봇 제어/지능화기술
|
-
환경/비전 인식/식별/판단 기술
-
정밀항법 기술
-
자율주행 기술
-
자율작업 기술
-
전원제어 기술
-
지능형 데이터 수집/학습/컴퓨팅
-
HRI 기술
|
-
해양로봇장비 시험평가인증 제도
-
해양로봇 연구기능 인프라
-
수중 로봇 복합 실증센터
-
해양레저장비 실증 전문 인프라
-
해양장비 인증 및 실증 전문 인프라
-
해양로봇 엔지니어링 인력양성
-
해양로봇 오퍼레이터 인력양성
-
해양로봇 수중통신분야 인력양성
-
해양로봇 전문인력양성
|
해양로봇 운용 기술
|
-
로봇 지원시스템(진회수 등) 설계 및 운영 기술
-
시스템 관제 및 운영 기술
-
이종 시스템 통합 제어 및 운용 기술
-
수중로봇 활용 응용분야 기술
-
해양로봇장비 시험평가 기술
|
해양로봇 부품·설계 기술
|
-
융합기술 및 특수목적 기반 플랫폼 설계해석 기술
-
극한환경(내압,내한, 내열 등) 극복 설계 기술
-
고성능/고신뢰성 부품 및 센서 설계 기술
-
센서/부품 시스템 통합 설계 기술
|
로봇 원격 통신
|
해양 통신센서 및 모듈 설계
|
-
위성 통신 센서/모듈 설계
-
해상전파통신 센서/모듈 설계
-
수중음향통신 센서/모듈 설계
-
수중광통신 센서/모듈 설계
|
해양 통신 네트워크 기술
|
-
네트워크 구조 설계
-
통신모뎀 기술
-
망 운영 기술
|
해양 탐사
|
기후변화 진단 및 예측
|
근접해양 기후변화 예측 기술
|
-
동·서·남해안 기후변화지도 작성 기술
-
동해 심층해수 및 물질 순환 기작 규명 기술
|
-
Ocean Decade
-
NEAR GOOS
-
기후협약제도
-
해수부 기상청 간 정례적 협력채널 구축 제도
-
국제기구 및 기관간 협력사업 제도
-
국제협력연구 제도
-
남ㆍ북극 연구 진흥제도
-
해양현안 기술 원형(prototype) 완성 시스템
-
극지과학 개방형 협력시스템 구축
-
해양수치모델링과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해양예측 정확도 향상연구
-
남북극 과학기지
-
종합해양과학기술 구축 및 활용연구
-
극지해양생물 연구시설
-
연안방재연구센터
-
해양기후예측센터
-
연안재해 대응센터(K Ocean Watch)
-
해양슈퍼컴퓨팅센터
-
극지 및 적도 인프라 구축
-
관할해역 첨단 해양과학기지 구축
-
극지통합정보센터
-
극지과학 특화 UST스쿨 설립
-
극지인력양성을 위한 남북극 현장탐사 프로그램
-
21C 다산주니어 프로그램
-
북극협의체 인턴십 운영
-
북극운항 인력 양성
-
극지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
-
차세대 해양과학자 양성 프로그램
-
차세대 해양수치모델 연구자 양성 프로그램 (Geomath 등)
-
GODAE ( The Global Ocean Data Assimilation Experiment) OceanPredict
-
극지해설사 양성 프로그램
|
해양수산자원연계 기후변화 정보 제공 기술
|
-
해양기후변화 통합관측·장기전망 기술
-
해양수산 기후변화 지수 개발 기술
|
해양 생태계 반응 및 미래변동 예측 기술
|
-
해양 기후변화와 생지화학과정 변화 진단‧예측 기술
-
해양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생태계 영향‧예측 기술
-
지표종 생리생태 반응‧개체군 변동 측정기술
-
심해생태계 반응 측정기술
|
해양관측 및 예보
|
해양기후 예측 시스템 기술
|
-
한반도 주변 해양기후 예측 시스템 기술
|
국가해양 GIS 국산화 기술
|
-
국가 해양 GIS 핵심기술 국산화 기술
-
정밀조사 기술
|
해양관측망 구축 및 활용 기술
|
-
해양위성 및 활용연구 및 운용기술
-
고정형 관측체계 구축 및 활용기술
-
재난대응 이동형 해양관측 플랫폼 개발 기술
-
고정관측 무인관측체계 연동기술
-
해양관측로봇 플랫폼 개발 및 활용기술
-
해저공간 관측체계 구축 및 운용기술
-
해양 IoT 체계 구축 및 운용기술
-
관측자료 표준화 기술
|
해양예측 플랫폼 구축기술
|
-
전지구 통합 해양환경 예측시스템 개발 기술
-
지역해 예측 기술
-
전지구 지역해 연안 연계 예측 기술
-
초고속 컴퓨팅 시스템 구축 및 활용기술
-
AI 기반 해양예측기술
-
한국형 수치모델링 최적화기술
-
자료동화 기술
-
수치모델링 AI 융합기술
-
연안재해예측시스템 개발 기술
-
예측자료 표준화 기술
-
해저공간 변동 예측기술
|
해양공간정보활용 기술
|
-
해저공간 창출 및 활용 기술
-
해양 디지털트윈 구축 및 활용기반 기술
-
해양공간 정책시뮬레이터 개발 기술
-
해양정보 특화 서비스 플랫폼 개발기술
|
대양 탐사
|
심해지질 연구 기술
|
-
인도양 중앙 해령대 심해열수공 생명시스템 기술
-
해저열수광상 개발 유명광구 선정 기술
|
해양 대기 연구 기술
|
-
북서태평양 해양 대기 연구기술
-
해양 대기 결합 지역기후모델 구축 기술
-
고수온 현상 규명 및 예측시스템 구축 기술
-
해양 대기 상호작용과 한반도 원격상관성 연계기술
-
해양위성 운영기술
|
극지 탐사
|
극지 활용 기술
|
-
극지 유전자원 활용기술 개발 기술
-
극지역 온난화 사회문제 해결 대응기술
-
양극해 활용 연구 기술
-
북극해 해저자원 활용기술
|
극지연구 지원 기술
|
-
극지통합정보시스템
-
해양생태계 및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기술
-
극한지 개발 및 탐사용 협동이동체 시스템 기술
-
미답영역 탐사를 위한 연구 인프라 고도화 기술
|
양극해 해양환경 연구
|
-
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기술
-
극지해양조사 및 환경변화 감시기술
-
전지구 해수면 변동 예측모델 개발 기술
-
장기 해양무인관측체계 운영기술
|
북극권 기후위기 대응 기술
|
-
중앙 북극해 수산생물자원 탐사 기술
-
북극권 공공데이터 서버 구축 기술
-
북극해 고위도 등 미답지 관측 기술
-
북극 해양 ‧ 해빙‧기후‧기상 통합예측모델 기술
|
극지 기후 연구 기술
|
-
극지통합예측모델 기술
-
극지관련 위성 재해기상 예측 기술
-
극지 초소형 위성 활용 기술
-
해양 빙권 변화에 따른 한반도 이상 기후 예측 기술
|
남극 대륙 탐사
|
-
스마트 관측 스테이션 구축 기술
-
장보고기지 활용기반 기술
-
극지내륙 개척 융합기술
-
심부빙하시추 기술
|
안전한 북극항로 조성 기술
|
-
지능형 북극해 해상교통정보서비스 기술
-
안전한 북극항로 항만 기술
-
안전한 항로운항 기술
-
안전 항로상의 운행 기술
|
해양 환경보전
|
해역 환경
|
해역환경 모니터링 체계 개선 기술
|
-
수중드론을 이용한 해양환경 감시 기술
-
해역환경 관리기술 연구개발 추진 기술
-
환경관리해역의 관리 선진화 기술
-
ICT 기반 환경 모니터링 체계 고도화 기술
|
-
선박기인 폐기물 분리배출 규제
-
해양오염퇴적물 정화복원 기준 재설정
-
해양생태도 개선 및 활용방안
-
어민주도 해양폐기물 분리제도
-
해양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방안
-
해양폐기물 재활용 인증제
-
해양보호생물 혼획 방지장치 기준·규격
-
해양보호구역 용도구역제
-
소형선박대상 오염물질기록부 규정
-
친환경 양식 자재 인증제
-
스티로폼 부표사용금지제도
-
전국 해양플라스틱 제로화 캠페인
-
국제해양폐기물회의 개최
-
지속가능성평가모형(DPSIR) 체계기반의 핵심 지표
-
모든 플라스틱에 대한 플라스틱 인증 표준
-
플라스틱 추적체계
-
참여형 해역환경 관리 거버넌스
-
바닷가 등록제 도입
-
해양환경교육 국제 네트워크 구축
-
협력적 해양쓰레기 관리 기반
-
해양정원 조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
-
선체부착생물 제거 관련 법적근거
-
친환경 부표 도입
-
갯벌복원 확대 및 기술지침 제정
-
남북 및 동북아 해양생태계 보전 협력체
-
해양생태계 조사 체계
-
국제해양 폐기물회의 개최
-
해양 기후변화 통합관측 데이터센터
-
해양생물 종복원 전문기관
-
해양보호구역 방문객 센터
-
국가 해양오염 배출방지 인프라
-
위험유해물질 사고관리 기술 테스트베드 구축
-
비점오염저감시설
-
해양보호구역 확대 및 관리효과성 평가
-
수족관 내 해양생물 관리체계 강화
-
외래해양생물 및 유전자변형생물 관리 강화
-
해양오염 신속 모니터링 기반 구축
-
해양수산 분야 종사자 및 이용자 대상 해양환경 의식 고양 프로그램
-
해역이용영향평가 전문 인력 양성
-
갯벌생태해설사 양성
-
생물다양성 보전·연구 기반 확대 및 전문인력 양성
-
해양 HNS 사고 대응 요원의 전문성 강화 및 전담팀 운영
-
학교 해양환경교육 활성화
-
해양환경교육 민간 전문가 양성
-
해양유해물질 오염원 추적 전문인력 양성
-
해양환경 모니터링 전문 인력 양성
-
해양 유해물질 분석 전문 인력 양성
-
서식지외 보전기관 기술개발 육성 교육
-
해양폐기물분야 전문인력 양성
-
구조치료기관 전문가 양성 교육
|
하구 및 연안 관리기술
|
-
연안침식 원인 규명 및 관리 기술
-
해역환경 관리 전국연안으로 확대 적용 기술
-
연안오염총량관리 확대 및 고도화 기술
-
과학기술기반 해역이용영향평가 기술
-
하구 환경 및 생태계 관리 기술
|
해양환경 오염 진단 평가 및 저감관리 기술
|
-
방사성물질 유입 사전대응 및 관리역량 확보 기술
-
연안 환경기초시설 운영 강화 기술
-
육상기원 유해물질의 유입 저감 및 관리 기술
-
빅데이터기반 해양환경 기준 설정 및 관리 기술
-
연안 퇴적물 오염 저감/관리 기술
-
해양미세플라스틱 오염대응 및 관리기술
|
해양 생태계
|
해양생태계 변화 예측 기술
|
-
해양생태계 변화의 추적과 예측 기술
|
해양생태계 모니터링 기술
|
-
해양생태계 위협요인 탐색 기술
-
유해 외래 식생 모니터링 및 관리 기술
-
유해교란 해양생물 생태정보 플랫폼 구축 기술
-
유해교란 해양생물 감시체계 고도화 기술
|
해양생태계 조사 관리 기술
|
-
해양생태계 관리 체계화 및 정보활용 확대 기술
-
해양보호생물 관리체계 고도화 기술
-
단위해역별 조사 관리 체계의 마련 기술
-
광역 해양포유류 조사기법 기술
|
해양생태계 복원 기술
|
-
해양생태계 복원 사업 다양화와 확대 기술
-
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조성기술
-
해양보호생물 인공증식 기술
|
선체부착생물 관리기술
|
-
선체부착생물 제거 폐기물 처리 기술
-
선체부착생물 저감 기술
|
해양 쓰레기
|
해양쓰레기/플라스틱 수거 및 처리 기술
|
-
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수거지원 기술
-
해양쓰레기 순환경제 체계 구축 기술
-
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수거장비 기술
-
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처리 기술
-
스마트 기술기반 해양쓰레기 수거 고도화 기술
-
수거·처리용 친환경 선박 개발 및 실증 기술
-
빅데이터기반 해양폐기물 모니터링 수거 지원 기술
-
해양쓰레기 수거장비 실증 기술
-
해양폐기물 친환경 해상처리 기술
|
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진단 기술
|
-
해양 미세플라스틱 유입·발생 및 환경거동 기술
-
해양생태계 보호기준 마련 위해성 평가 기술
-
해양 미세플라스틱 현안해결 기술
|
친환경 어구 개발 기술
|
-
탈 플라스틱소재 사용 차세대 친환경 부표 기술
-
친환경 인증 기술
|
해양 쓰레기 오염 진단 및 사전 예방 기술
|
-
해양쓰레기 오염 및 사전예방 체계 개선 기술
-
해양쓰레기 이동확산 예측 기술
-
해양예측 정확도 향상 기술
|
해양활동 오염
|
해양플랜트 친환경 해체 기술
|
-
해양플랜트 친환경 해체 실용화 기술
|
해양오염물질 대응 기술
|
-
위해요소 현장형 신속검출기 개발 기술
-
배출 오염 측정체계 구축 기술
-
해양오염물질 분석 능력 고도화 기술
-
위험유해물질 사고 대응체계 강화 기술
-
신규 유해물질 유출사고 대응 기술
-
실시간 해양오염 감시체계 구축 기술
-
해양 유해물질 오염원 추적기법 기술
|
선박 미세먼지 저감 기술
|
-
선박 미세먼지 저감기술
-
선박 미세먼지 저감기술 실증 및 상용화 기술
-
개방형 스크러버 미세먼지(PM) 여과 기술
|
오염물질의 해양유입 저감 기술
|
-
배기가스 세정설비 세척수 이용 여과 시스템 기술
-
항해중 개방형 스크러버 기능 유지 기술
-
소형선박용 오염물질 수거․처리기술 개발
-
육상기인 쓰레기 유입 차단 기술
|
기후변화 대응
|
해양기후 변화 분석 기술
|
-
해양 기후변화 분석 및 예측 모델 구축
-
장기 해수면 상승률 자료분석 및 예측 기술
-
기후변화 진단 및 장기연구 전망 기술
|